두울의 순환을 방지하기 위해서 두울_구조의 적용 범위를 먼저 결정합니다.
[열린_두울 2] : 두울의 안섬_쌍(p)에 대해서 마주섬인 안섬_쌍(q)n이 존재하고 그 수가 둘 이상일 경우이다.
즉, 열린_두울이란 두울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순환이 불가능한 두울입니다. (두울 & 순환 불가능)
Tip-> 위의 그림은 열린_두울(흑)을 나타낸다.
[열린_두울 1] : 한 쌍의 안섬_쌍(p/q)에서 서로 마주섬인 돌_둑(p/q)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단, 안섬_쌍(p/q)이 모두 빈_자리를 포함하여야 한다.)
[열린_두울 0] : 두울의 안섬쌍(p)이 온울(p)을 수반하거나, 안섬_쌍(q)n이 모두 온울(q)n을 수반하는 경우이다.
***
[대해서 마주섬] (흑의 돌둑에 대해서 마주섬인 백의 돌둑.)
1. 어느 한 돌_둑(흑)에 대해서 맞섬인 관계를 최소한 하나는 포함하는 돌_둑(백)이다.
2. 돌_둑(백)에 포함되는 각각의 돌(백)이 돌_둑(흑)에 대해서 최소한 하나 이상 맞섬_관계에 있다.
3. 돌_둑(백)에 포함되는 모든 돌(백)에 대해서 <대해서 마주섬 2.의 조건>을 만족한다.
[서로 마주섬] :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두 돌_둑이 각기 [대해서 마주섬]의 조건을 서로에 대해서 만족한다.
-> 가시적인 효과를 위해서 돌_둑으로 설명하였으나 둘자리_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