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 바둑의 재구성..! (18)
두온_바둑..! (14)
Q & A (2)
CrossOpen..! (2)
..!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순차'에 해당되는 글 1건
2010. 3. 13. 17:21

바둑을 두는 두 사람을 상상 해 봅시다.

그들이 하는 행동을 멀리서 관찰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무엇이 보일까요...

 

먼저 한 사람이 검은 돌을 놓고,

그 다음에 다른 사람이 하얀 돌을 바둑판에 또 놓고 ...

그리고 가끔씩 바둑판에서 돌을 들어 내기도 하고,

여기까지....

 

일반적인 바둑은 이를 다음과 같이 정형화 했습니다.

1. 먼저 한 사람p이 자신의 돌을 바둑판 위에 올려 놓고[쓰기p],

2. 다음에 다른 사람q이[바꾸기q]

3. 자신의 돌을 바둑판 위에 올려 놓고[쓰기q]

   (따라서 [쓰기p-바꾸기q-쓰기q] 순입니다.)...

 

1. 다음으로 한 사람p이 자신의 돌을 바둑판 위에 올려 놓고[쓰기p]나서,

2. 바둑판 위에서 상대방의 돌 무더기를 들어 내고[지우기q],

3. 그 다음에 다른 사람q이[바꾸기q] 

4. 자신의 돌을 바둑판 위에 올려 놓기[쓰기q]를 합니다.

   (따라서 [쓰기p-지우기q-바꾸기q-쓰기q]의 순서입니다.)

 

자 이제 이 두 가지를 정리하면 [쓰기p-(지우기q)-바꾸기q]의 순서로 계속해서 반복되는 광경을 보게 될 것입니다(여기서 괄호는 생략을 뜻합니다).

 

여기서 바둑의 수[읽기]를 포함시켜서 순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읽기p-쓰기p-(지우기q)-바꾸기q]. 

 

비교를 위하여 다른 예를 들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낚서가 가득한 칠판에 글을 쓰고픈 한 사람을 상상해 봅시다.

1. 제일 먼저 그는 무엇을 할까요?

   칠판이 지저분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알아야 합니다. [읽기p]

2. 그 다음으로 칠판이 지저분하면 일단 칠판을 깨끗이 지워야죠. [지우기p]

3. 그리고 나서 자신의 글로 칠판을 채웁니다. [쓰기p]

4. 그 다음 사람이 칠판에 글을 쓰고 싶다면, [바꾸기q]

   먼저 글을 쓴 사람이 했던 과정을 그대로 따라 할 것입니다.

 

이 과정을 나열하면 [읽기p-(지우기p)-쓰기p-바꾸기q]가 됩니다.

  

Tip-> 두온의 구성에서 구조적으로 생략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략하지 않은 결과와 생략한 결과가 같을 경우에만 생략이 가능합니다.

 

하나의 단위로 정형화(묶기)하기 위해서 다음 작업을 합니다.

마지막의 항목을 맨 앞으로 순환시키고, 행위자를 바꾸어 행위자를 일치시킵니다.

 

 이제 바둑의 예와 칠판에 글쓰기의 예를 비교하여 봅시다.

[바꾸기p-읽기p-쓰기p-(지우기q)] -> 바둑의 정형화

    [바꾸기p-읽기p-쓰기p-(지우기q)] -> q의 생략이 가능함.


[바꾸기p-읽기p-(지우기p)-쓰기p] -> 두온이 채택하는 경우.

   [바꾸기-읽기-(지우기)-쓰기]p    -> q의 생략이 가능함.

 

바둑의 경우는 행위자의 대상이 둘-서로 다른- 입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대상에 대한 표식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바둑은 행위의 대상을 구분해서 표시하여야 합니다.

(예, p가 p의 돌을 놓기, p가 q의 돌을 들어내기) 

-> 자신의 돌을 놓고, 타인의 돌을 빼앗는다. [착취적]

-> 자신의 돌을 놓고, 타인의 돌을 정리해 준다. [타율적, 이타적]

 

반면에 칠판에 글을 쓰는 예에서는 행위자의 대상을 구분하지 않으므로, 행위자의 대상을 생략하더라도 전혀 혼란스럽지 않습니다. 

두온의 구성은 자신의 돌에 대해서만 국한하므로, 누가 누구의 돌을 놓는지 혹은 누가 누구의 돌을 들어 내는지에 대해서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 오로지 p가 p의 돌을 놓기, 오로지 p가 p의 돌을 들어내기)

 -> 자신의 돌을 자신이 정리하고, 그리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돌을 놓는다. [자율, 독립적]

 

두온_바둑은 상대적인 게임입니다.

자율성이 확보되지 않고서 어떻게 상대적인 독립성을 논할 수 있을까요...

 

두온은 보다 단순하고 명료한 후자의 경우를 [진행규칙의 순환마디]로 채택합니다.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