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 바둑의 재구성..! (18)
두온_바둑..! (14)
Q & A (2)
CrossOpen..! (2)
..!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2010. 3. 26. 00:02
'두울이 발생한다'는 의미를 규정해 봅니다.

[일반_바둑에서 두울이 발생하는 조건]

1. "상호낳음"인 경우이다.
2. 돌둑의 크기가 흑과 백 모두 하나이다.  <최소가정>



위의 경우는 두울의 기능을 고려할 때, 그 제약 범위가 너무 좁다.

<최대가정> : 두울의 구조(두_울) 에 돌을 놓음하면 두울(?)이 발생한다.

Tip-> 두온_바둑에서 "안과 밖"의 개념은 밭_개념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최대가정>은 두울의 기능을 고려할 때, 그 제약 범위가 너무 넓다.
(아래그림-> 2 혹은 3의 자리에 맨 처음 돌을 놓을 때)

다음과 같은 경우들을 제약하기 위하여 두울의 기능적인 발생 조건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그림-> 흑(5)에서 반복을 확인할 수 있다.

참조-> 흑(1)에서 두울의 발생_조건<1>을 만족하지만 조건<2>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두울(흑)이 발생하지 않는다.
          백(2)은 전제_조건을 만족한다.
          흑(3)은 돌(1, 2)가 전제_조건을 만족하고, 두울의 발생_조건<3>을 만족하므로 두울(흑)이 발생한다.
          -> 백(4)는 [규칙 위반]이다.


***
두온_바둑에서는 두울의 발생을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두울의 발생을 위한 전제_조건] :
1. 모든 두울 구조 안에서 돌의 흐름이 유지된다.
2. 오직 하나의 두울 구조에 대해서 고려한다. 
   ..> 두울의 연장은 다음에...


[두울(p)의 발생_조건] :   <- 돌을 놓기 전의 상태를 읽기입니다.

1. 상대의 돌자리_둑(q)n이 맺음자리를 포함하거나, 상대의 돌자리_둑(q)n이 이미 낳음인 상태이다.
2. 자신의 돌자리_둑(p)이 맺음자리를 포함한다.
3. 위의 발생_조건<1,2>를 동시에 만족한다.

   -> 상대의 돌둑이 섬이(었)고 그리고 자신의 돌자리_둑이 돌둑으로 구체화 된 경우이다.
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