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 바둑의 재구성..! (18)
두온_바둑..! (14)
Q & A (2)
CrossOpen..! (2)
..!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2010. 3. 13. 17:20

두온_바둑의 개요이므로 바둑을 안다고 전제하며

두온_바둑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사전 지식들을 정리해 봅니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두온의 정의]
: 두온_바둑은 바탕의 가능성을 밭으로 구체화하는 게임입니다.

-> What : 바탕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구체화된 것이 이다.

--> How : 돌둑으로 을 구체화 한다.

 -> 따라서 상대적으로 구체화 되지 않은 빈 밭이 없으면, 종료(end).

 -> 규칙을 위반하지 않고 돌놓음 할 수 있는 자리가 없으면, 종료(end).

 -> 종료 후 구체화한 밭의 수를 서로 비교하여 승부를 결정한다.

  

[진행규칙의 순환마디]..

 0.  [바꾸기] : 흑과 백의 돌놓음에 대한 균등하고 순차적인 기회의 부여.

 1.  [읽  기] : 순환형식(여울)의 가능성을 파악(받고/버림) 한다.

..> 여울의 구조, 기능, 종류(빈울, 한울, 두울)...


 2.  [지우기] : 자신의 섬인 돌둑(p)들을 낳아 버린다.

 3.  [쓰  기] : 오직 하나의 돌(p)을 자리에 받아 놓는다.

 [바꾸기]는 효율적이고 균등한 기회를 위해서,

 [읽고, 지우고, 쓰기]는 두온의 진행과정을 끝까지 확보하기 위해서, 순환이 가능한 경우들을 배제하기 위해서 존재 한다.



[진행규칙의 개요]

 1.  각 대비자에게는 최대한 한 수 그리고 최소한 한 수의 기회만이 주어진다.

-> 오직 한 수는 두온_바둑에 참여하는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따라서 돌놓음하지 않고 수넘김(pass)하는 바둑의 규칙은 없습니다.


 2.  자신의 돌둑들 또는 빈 자리에 대해서만 [진행규칙]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3.  반드시 [지우기]하고난 이후에 [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단, [지우기]의 대상이 없으면, [지우기]를 생략 합니다. <zerro 지우기>

 이점이 바둑과 다른 대표적인 경우인데, [진행규칙 적용의 순환마디]와 [진행규칙의 개요 2]에 따라서 상대방의 돌둑에 대한 권리가 두온_바둑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4.  규칙을 모두 적용해야 하며, [바꾸기, 쓰기]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5.  [읽기]는 순환 가능성에 대한 파악이므로, 순환 가능한 경우들을 살펴 보아야 합니다.

 ...> 설명은 다른 꼭지에서...

  

[바둑에서 순환이 가능힌 경우들의 목록]  <- 제한이 필요(여울구조)

 1. 두 대비자가 돌을 놓지 않거나 서로 수넘김을 할 경우.

 2. 돌을 놓음한 돌둑 위에 돌을 다시 겹쳐 표기할 때.

-> 두 대비자가 계속해서 돌위에 돌을 겹쳐 놓으면 진행과정이 무한 순환에 빠져들어 돌 놓음이 무효화되고 밭을 추구할 수 없게 된다.


3. 밭의 확장 가능성이 없는 올_둑(미래에 될 수 있는 연장 가능한 돌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설명은 다른 꼭지에서...

 4. 상호 낳음이 가능한 특정한 경우(일반적으로 패라 함).

 5. 한 판의 바둑이 순환할 때.

 

두온_바둑의 진행 규칙은  위에서 제시한 [바둑에서 순환이 가능힌 경우들의 목록]의 모든 경우에 대해서 구조적인 대안을 제시합니다.

 그 결과는 위에서 제시한 모든 사항들은 두온의 [수행규칙]으로 배제 합니다.

<- [수행규칙] 위반으로 처리한다.


 새로운 용어들에 대해서는 차츰 정리 하려 합니다.

질문과 의견 그리고 궁금증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