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 바둑의 재구성..! (18)
두온_바둑..! (14)
Q & A (2)
CrossOpen..! (2)
..!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rss
2010. 3. 13. 17:22

바둑에서는 돌들의 이음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음에 대한 정의는 사용자들의 상식적인 이해에 맞기고 있다.

  

두온_바둑에서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두 가지를 다음과 같이 규정 한다.

 -> 구조적인 명칭이며,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는 ..> Next

  

<설명을 위한 그림> 가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돌둑으로 표현합니다.

 

 1.[이웃관계]

1. 잇 음(동종 이웃 관계) :

   오직 서로 같은 종류의 두 돌이 하나의 둑을 사이에 둔 경우이다.(구조)

 -> 이음 : 잇음으로 이루어지고 하나로 기능하는 연합체이다.(기능)

 

2. 맞 섬(이종 이웃 관계) :

    오직 서로 다른 종류의 두 돌이 하나의 둑을 사이에 둔 경우이다.(구조)

 -> 마주섬 : 서로 다른 두 돌둑이 최소한 하나의 맞섬인 관계를 포함하는 경우이다.(기능)

 

 2.[_둑]  <- 동종이웃관계를 전제한다.

1. 자리_둑 : 자리(들)을 구성요소로 하고, 이음인 둑이다.

 2. 돌_둑 : 돌(들)을 구성요소로 하고, 이음인 둑이다.

 3. 돌자리_둑 : 자리(들)돌(들)을 구성요소로 하고, 이음인 둑이다.

 

Tip->  구조적인 명칭은 돌_둑으로, 기능적인 명칭은 돌둑 등으로 표기합니다.